(톱스타뉴스 김윤교 기자) 핀볼드(finbold)는 2025년 11월 25일자 “Why Nvidia stock is crashing today”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 주가가 개장 전부터 급락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엔비디아(Nvidia) 주가는 이날 프리마켓에서 전일 대비 3.70% 떨어진 175달러로 밀리며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전날 종가는 182달러로 2% 넘게 올랐으나, 장 시작을 앞두고 분위기가 급변했다.

외신은 메타플랫폼스가 내년부터 구글의 자체 AI 칩을 데이터센터에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점을 하락 배경으로 전했다. 메타가 일부 워크로드에 구글칩을 도입할 경우 2027년에는 더 광범위한 배치가 가능하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는 AI 가속기와 GPU 시장에서 압도적 점유율을 지켜온 엔비디아의 핵심 성장축에 균열을 낼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

특히 시장은 구글의 TPU(특수 목적 AI 연산 프로세서)를 메타가 채택할 경우, 그간 엔비디아가 누려온 ‘잠금효과(lock-in·고객 이탈이 어려운 구조)’가 약화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엔비디아 GPU는 대규모 AI 모델 개발과 학습에 최적화돼 있어 초대형 클라우드 기업으로부터 높은 단가와 장기 계약을 확보해 왔다. 하지만 대형 고객사가 하드웨어 소싱을 다변화하려는 움직임은 엔비디아의 향후 매출 성장률과 수익성 전망을 흔드는 변수로 해석된다.

메타의 구글칩 전환 움직임에 엔비디아 급락…AI 경쟁 구도 흔들리나
메타의 구글칩 전환 움직임에 엔비디아 급락…AI 경쟁 구도 흔들리나

기술주 전반에 대한 경계 심리도 하락 압력을 키우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최근 고평가 국면에 진입한 AI·반도체 종목들이 작은 변수에도 가격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의식하고 있다. 특히 ‘AI 성장이 완벽하게 이어질 것’이라는 높아진 기대가 주가에 이미 충분히 반영된 상황에서, 메타의 칩 선택 변화 같은 신호는 즉각적인 매도세로 이어지기 쉽다는 분석이 나온다.

향후 관전포인트는 메타가 실제로 어느 범위까지 구글칩을 도입할지, 그리고 엔비디아가 차세대 GPU·가속기 로드맵을 통해 기술 우위를 다시 얼마나 강화할 수 있을지로 모인다. 엔비디아가 기대치를 상회하는 제품 성능과 생태계 확장을 입증할 경우 이번 조정이 일시적 변동에 그칠 가능성이 있다. 반면 고객사 이탈이 본격화하면 AI 하드웨어 시장의 경쟁 구도 자체가 재편될 수 있다는 전망도 함께 제기된다.


[본 기사는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닙니다. 기사 내용은 외신 혹은 증권사 견해를 종합한 것으로, 투자를 권유하기 위해 작성된 내용은 아닙니다. 이 기사 내용에 전적으로 의존해 투자 결정을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모든 투자는 개인의 판단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지는 독자의 투자 결과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