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스타뉴스 김명수 기자) 비트코인닷컴뉴스(bitcoin.com)는 2025년 11월 25일 “연준이 다가오는 금리 인하로 금에 출발대를 제공할 수 있다(Fed Could Launch Gold With Upcoming Rate Cuts)” 기사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현물 금 가격이 상승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금 시장은 연준의 0.25%p 완화 전환 기대를 선반영하며 위험회피 수단으로 금을 재평가하는 흐름이 강화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화요일 이른 시간대 금 현물 가격은 온스당 4,000달러 수준에서 4,165달러까지 상승했다. 이는 뉴욕 연방준비은행의 존 윌리엄스(John Williams) 회장이 “추가 조정 여지가 있다”고 언급하며 완화적 스탠스를 내비친 직후 나타난 흐름이다. 예측 시장은 이번 완화 가능성을 약 83%로 반영하고 있다.
금은 이자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비수익성 자산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낮은 금리 환경에서 상대적 매력이 높아진다. 금속 투자자들은 이러한 특성을 기반으로 포지션을 재정비하며 가격 상승 국면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금은 희소성이 가치를 결정하는 자산이라는 점에서 인플레이션 헤지(가치 보전 수단) 역할이 강화된다는 평가가 이어진다.

보도에 따르면 금값 강세는 귀금속에 대한 중앙은행 수요도 지속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스탠다드 차타드는 주요국 중앙은행의 매입 기조가 견조하며, 글로벌 교역 환경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확대될 경우 장기 수요가 더 강화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시장에서는 미국 관세 정책 변화 가능성이 이 같은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관점은 엇갈린다. 일부 시장 참가자들은 금리 인하·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나타나는 상황) 우려·달러 가치 조정 가능성 등을 감안할 때 금이 장기적으로 추가 상승할 여지가 있다고 본다. 반면 금값이 연초 대비 50% 이상 급등한 상황에서는 차익 실현 압력과 단기 변동성 확대를 경계해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전망은 여전히 금 쪽으로 기울어 있다. 글로벌 경기 둔화 가능성, 지정학적 위험 재확대, 통화정책 전환에 대한 기대 등이 유지되는 한 금의 상승세가 쉽게 꺾이기 어렵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특히 JP모건 분석가들은 금이 2026년 4분기에 트로이온스당 5,055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는 가능성을 언급하며 장기 구조적 수요를 강조했다.
[본 기사는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닙니다. 기사 내용은 외신 혹은 증권사 견해를 종합한 것으로, 투자를 권유하기 위해 작성된 내용은 아닙니다. 이 기사 내용에 전적으로 의존해 투자 결정을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모든 투자는 개인의 판단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지는 독자의 투자 결과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2025/11/25 20:50송고  |  reporter@topstar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