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스타뉴스 이수현 기자) ※ 해당 리뷰에는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줄거리와 결말 등 주요 장면에 대한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줄평 : 디스토피아에서 보여주는 가장 현실적인 인간 이야기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디스토피아를 배경으로 하지만 SF나 판타지가 아닌 현실 그 자체를 담고 있다. 보통의 인간들이 만든 처절한 블랙코미디가 관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을까.
영화는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며 시작한다. 아파트가 처음 생겨난 시점에서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점까지 빠르게 지나온다. 엄태화 감독은 부가적인 서사를 영화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콘크리트 유토피아'가 만들어지고 곧바로 지진이 시작된다.

영화는 도입부 민성(박서준)·명화(박보영) 부부의 모습을 통해 중심 질문을 시사한다. 외부인과의 공존 문제다. 남은 식량으로 얼마나 버틸 수 있을지조차 알 수 없는 상황, 명화는 외부인을 집에 들이자고 말하고 민성은 반대한다.
이 문제는 이내 아파트 전체의 갈등으로 번진다. 외부인과의 갈등이 가시화되자 입주민들은 주민 투표로 외부인의 거취를 결정한다.

그러나 고립된 상황에서 자원은 계속 고갈되고, 영탁과 민성을 중심으로 한 방범대는 아파트 외부로 자원을 구하러 나간다. 자원은 끊임없이 고갈되고, 어느새 방범대는 약탈자로 변해간다. 이들의 모습은 약탈 전쟁을 벌이던 과거 여러 나라들의 모습과도 닮아 있다.
황궁 아파트 내부 사회가 안정될수록 주민들은 지진 이전의 삶으로 돌아간 듯 행동한다. 가장 필요했던 물이 공급됐지만 만족하지 못하고 방범대에게 계속 새로운 자원을 요구한다. 이렇듯 영화는 자원에 의한 인간들의 갈등과 화합만을 반복적으로 그려낸다.
영화는 왜 황궁 아파트만 무너지지 않았는지 설명하지 않는다. 이 영화에서 ‘왜’는 중요하지 않다. 이미 지진은 일어났고, 우리 아파트만 무너지지 않았다. 감독이 그리고자 했던 ‘현실성’은 이 대목에서 가장 가깝게 와닿는다. 지진이 발생해 내가 살던 곳이 폐허로 변했다면 ’왜‘를 생각하는 게 아니라 살 궁리를 찾아야만 한다.
영화가 끝난 후 관객들은 생각하게 된다. 내가 만약 황궁 아파트 입주민이라면? 명화처럼 외부인과 공생하는 법을 고민하게 될까 영탁처럼 내 몫을 지키기 위해 날을 세우게 될까.

배우들의 연기도 흠잡을 데 없다. 이병헌은 등장부터 모두를 압도하고 김선영은 완벽히 맞는 옷을 입었다. 박서준과 박보영은 가장 가까이에서 변화하는 서로를 느끼고 있다는 것을 눈빛으로 표현한다.
그렇기 때문에 후반부 신파를 버리지 못했다는 점이 더욱 아쉽게 느껴진다. 장르의 장벽도 높은 편이다. 디스토피아는 한국에서 인기 있는 장르가 아니다. 영화 곳곳에 웃음 포인트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어둡고 무겁다. 같은 맥락의 에피소드가 크기를 조금씩 키워가며 반복되는 만큼 다소 지루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영화가 그리고 있는 주제와 던지는 메시지는 명확하다. 하지만 이 영화가 여름 빅4 대전에서 관객들 마음을 사로잡고 흥행에 성공할 수 있을지는 글쎄, 잘 모르겠다.
그간의 재난 영화와 달리 완전한 희망 없이 마무리되는 '콘크리트 유토피아'의 결말이 관객들에게 아쉬움이 아닌 여운으로 다가간다면 흥행에 성공할지도. 8월 9일 개봉.
2023/08/01 14:53송고  |  reporter@topstar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