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스타뉴스 이은혜 기자) 소설가 황석영(본명 황수영)이 금관문화훈장을 받는다.
7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 이하 문체부)는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2025년 문화예술발전 유공 시상식' 수상자를 공개했다.
이날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문체부는 '2025년 문화예술발전 유공 시상식'을 통해 문화훈장 수훈자 17명, 대한민국 문화예술상(대통령 표창) 수상자 5명,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문체부 장관 표창) 수상자 8명, 예술가의 장한 어버이상(문체부 장관 감사패) 수상자 3명 등 총 33명에 대해 포상한다.

문체부에 따르면 문화훈장 금관 수상자는 소설가 황석영으로 결정됐다.
문화훈장은 정부포상의 최고 훈격으로서, 문화예술 발전과 국민 문화 향상에 기여한 공적이 현저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훈장이다. ‘금관’은 그중 최고 등급으로서 해당 분야의 개척자나 원로급 인사에게 수여된다.
황석영 작가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소설가다. 그는 반세기 이상 한국문학의 흐름을 이끌며 깊이 있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사회적 치유와 성찰에 기여했다. '장길산', '바리데기', '삼포 가는 길' 등을 통해 민중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했고, 현장 체험과 심층 취재를 토대로 한 사실주의적 접근은 한국문학의 사회적 역할을 환기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또 '철도원 삼대', '낯익은 세상' 등이 해외에 소개되고 주목 받는 등 한국 문학을 해외에 알린 1세대 작가로서 한국문학의 위상을 높인 공적을 인정받아 금관문화 훈장을 받게 됐다.
은관 문화훈장은 50년 동안 프랑스 대표 문학작품을 번역해 온 김화영 고려대 명예교수, 한국 연극의 독자적 미학을 정립하고 연극예술 발전에 기여한 한태숙 연극연출가, ‘색면추상’이라는 독창적인 양식을 구축하고 한국미술 발전에 기여한 유희영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한국 건축문화 발전에 기여한 조성룡 건축사사무소 대표가 수상할 예정이다.

보관 문화훈장은 한국 현대문학의 역사적 체계화와 한국문학 세계화에 기여한 권영민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한국음악 발전에 기여한 나인용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첼로 연주자로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한국 음악의 위상을 높인 양성원 연세대학교 관현학과 교수, 한국미술 발전과 세계화에 기여한 이강소 작가, 한국 1세대 조경가 정영선 조경설계서안(주) 대표 등이 받는다.
옥관 문화훈장은 '로보트 태권브이(V)', '황금날개' 등을 선보이며 만화․웹툰 발전에 기여한 김형배 만화가, 전통음악의 전승과 보전에 기여한 최경만 서울특별시 무형유산 삼현육각 보유자, 극단 무천을 창단해 한국 연극 발전과 후학 양성에 기여한 김아라 연극연출가, 한국 도예의 위상을 높인 신상호 작가 등이 받는다.
화관 문화훈장은 '헬로카봇', '탑블레이드', '하얀마음 백구' 등을 선보인 최신규 초이크리에이티브랩 대표, 전국 병아리 창작동요제 등으로 동요 문화 확산에 기여한 윤석구 (사)한국동요사랑협회 고문, 무용 발전에 기여한 허영일 한국예술종합 학교 명예교수 등이 받을 예정이다.
대한민국 문화예술상은 ▴재단법인 종이문화재단(문화일반 부문), ▴은희경 소설가(문학 부문), ▴최우정 서울대학교 작곡과 교수(음악 부문), ▴임도완 극단 사다리움직임연구소 소장(연극 부문), ▴고(故) 박영숙 사진작가(미술 부문) 등에게 수여된다.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의 박천휴 작가, 성해나 소설가, 이하느리 작곡가, 김준수 국립창극단 단원, 최종호 무용가, 양정욱 작가, 유의정 도예가, 김영배 드로잉윅스건축사무소 대표 등은 이번 시상식의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의 수상자로 선정됐다.
뿐만 아니라 가수 송가인과 아쟁 연주자 조성재의 어머니 송순단 님, 드럼 연주자 이태양의 어머니 김혜영 님, 현대 미술작가 김현우(픽셀김)의 어머니 김성원님은 '예술가의 장한 어버이상'을 수상하게 됐다.
이번 '2025년 문화예술발전 유공 시상식'은 오는 11월 7일 서울 서대문구의 모두예술극장에서 진행된다.
문체부는 ‘문화의 날(10월 셋째 주 토요일)’을 계기로 대한민국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문화예술인들에게 감사를 표하고 이들을 격려하기 위해
1969년부터 ‘대한민국 문화예술상’을 시상했으며, 1973년에 ‘문화훈장’을 포함, 훈격을 높여 매년 문화예술발전 유공자를 포상해 오고 있다.
2025/11/07 11:32송고  |  reporter@topstar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