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스타뉴스 김윤교 기자) 11월 26일 오전 9시25분 현재 국내 증시는 코스피와 코스닥이 나란히 오르며 전반적으로 반등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코스피 지수는 3,893.70으로 전 거래일 대비 0.93% 상승하고 있고, 장중 최고 3,897.27, 장중 최저 3,866.66 사이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상승 종목 수는 701개, 보합 종목은 55개, 하락 종목은 155개로, 상승 종목이 뚜렷하게 우위인 전형적 상승 장세다. 코스닥 지수는 865.17로 1.07% 오르며 코스피보다 더 강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장중 고점은 865.73, 저점은 859.32로 나타났고, 상한가 종목 1개를 포함해 상승 종목이 1,212개, 보합 97개, 하락 393개로 중소형 성장주의 매수세가 두드러진다. 투자자별 매매를 보면 코스피 시장에서는 개인이 1,259억원, 외국인이 321억원 순매도하고, 기관이 1,541억원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받쳐주는 구도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개인이 722억원 순매도, 외국인이 1,107억원 순매수, 기관이 27억원 순매도로, 외국인 중심의 매수세가 코스닥 지수 강세의 배경으로 자리 잡고 있다.

글로벌 환경과 국내 변수들이 겹치면서 오늘 장의 방향성을 규정하고 있다. 미국 뉴욕증시에서는 전일 다우존스 지수와 S&P500, 나스닥 등 3대 지수가 모두 상승 마감했고, 이 과정에서 엔비디아와 AMD는 약세를 보였지만 나머지 대형 기술주들이 강세를 보이면서 인공지능(AI) 테마에 대한 기대와 경계가 동시에 부각됐다. 구글의 제미나이 3.0 발표와 텐서처리장치(TPU) 확장 가능성이 알려지자 메타가 구글 TPU 도입을 검토한다는 소식까지 더해지며 AI 산업 내 경쟁 구도가 재조명되고 있어, 국내에서도 AI와 반도체 밸류체인 전반에 대한 재평가가 진행되는 모습이다. 한편 미국의 생산자물가와 소매판매 지표는 연방준비제도의 12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오면서, 글로벌 금리 인하 기대가 성장주 밸류에이션을 지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 한 달 동안 AI 버블 논쟁과 글로벌 기술주 조정,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동결 기조와 원화 약세, 외국인의 인버스 ETF 매수 확대, 그리고 미·한 관세 딜과 AI·방산 예산 확대, 2차전지 국제표준 전략과 같은 정책 이슈가 연쇄적으로 시장 변동성을 키워왔다. 오늘 장은 이 같은 재료들을 소화하는 과정에서 외국인·기관 수급이 재정렬되는 국면으로, 강세장 속 단기 조정 이후 반발 매수세가 지수에 우위로 나타나는 흐름이다.

업종별로는 코스피와 코스닥을 통틀어 경기 민감 섹터와 성장주가 함께 강세를 보이며 업종 지수도 전반적인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화학 업종이 3.69% 오르며 가장 강한 탄력을 보이고 있고, 전기제품이 3.43%, 전기유틸리티가 3.36% 상승하며 에너지·전력 관련 업종도 동반 강세를 나타낸다. 기계는 2.83%, 건설은 2.56%, 철강은 2.17% 올라 실물 경기와 인프라 투자와 연관된 섹터에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다. 우주항공과국방 업종도 2.09% 오르며 방산 관련 기대가 이어지고 있고, 생명과학도구및서비스와 제약이 각각 2.00%, 1.88% 상승하면서 바이오 업종 전반이 개선된 투자심리를 반영하고 있다. 생명보험이 1.99%, IT서비스가 1.81%, 에너지장비및서비스가 1.63% 오르는 등 금융·IT·에너지 서비스까지 상승 폭은 다르지만 동반 상승을 보이고 있어, 특정 업종에 국한된 랠리라기보다 여러 산업군으로 매기가 번지는 확산 장세의 성격이 강하다.

[표] 11월 26일 증시 시황
[표] 11월 26일 증시 시황

테마별로는 리튬, 면역항암제, 석유화학, 제대혈, 2차전지, 원자력발전소 해체, 건설 대표주,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탄소나노튜브(CNT), DMZ 평화공원, 2차전지 나트륨이온, 2025 하반기 신규상장, 온디바이스 AI 등 다양한 테마가 동시다발적으로 강세를 보이며 코스닥 중심의 테마 장세를 연출하고 있다. 리튬 테마는 하이드로리튬과 성일하이텍이 동반 상승하며 4.04% 올랐고, 면역항암제 테마는 바이젠셀이 상한가를 기록하고 이뮨온시아가 급등하면서 3.58% 상승해 오늘 시장의 핵심 테마로 부상했다. 석유화학 테마는 대한유화와 롯데케미칼이 강세를 보이며 3.37% 오르고 있고, 제대혈 테마에서는 차바이오텍과 지씨셀이 상승하면서 3.21% 상승률을 기록했다. 2차전지(생산) 테마는 삼성SDI와 LG에너지솔루션이 동반 상승하며 3.13% 오르고, 원자력발전소 해체 테마는 한전기술과 현대건설 강세에 힘입어 2.94% 상승하고 있다. 건설 대표주 테마 역시 현대건설과 DL이앤씨가 오르며 2.79% 상승해 건설 업종 지수 흐름과 보조를 맞춘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테마에서는 범한퓨얼셀과 비에이치아이가 강세를 보이며 2.68%, 탄소나노튜브(CNT) 테마에서는 LG화학과 금호석유화학이 상승하며 2.60% 올랐다. DMZ 평화공원 테마는 코아스와 하이드로리튬이 동반 상승해 2.47% 올랐고, 2차전지(나트륨이온) 테마에서는 삼성SDI와 에코프로비엠이, 2025 하반기 신규상장 테마에서는 노타와 그래피가, 온디바이스 AI 테마에서는 노타와 가온칩스가 각각 상승하며 2%대 중반의 강세를 보이고 있다.

코스피 시장에서는 상한가 종목은 없다. 다만 10%를 웃도는 급등주가 다수 나오면서 지수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 삼양바이오팜은 45,300원에 거래되며 15.41% 급등해 제약·바이오 업종 내에서 강한 매수세를 끌어모으고 있다. 솔루스첨단소재1우는 2,335원으로 14.46% 오르고, 솔루스첨단소재2우B는 4,075원으로 14.15% 상승하는 등 솔루스첨단소재 계열 우선주들이 일제히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 중이다. 보통주인 솔루스첨단소재 역시 9,010원으로 12.63% 오르며 소재·2차전지 관련 기대를 반영하고 있다. 코오롱모빌리티그룹은 11,890원으로 13.35% 급등했고, 코오롱모빌리티그룹우도 20,900원으로 11.65% 뛰며 자동차 유통·딜러 관련주의 강세를 보여준다. DMZ 평화공원 테마와 연결된 코아스는 3,975원으로 11.03% 상승해 정치·정책 테마 수급의 수혜를 받고 있고, 쌍방울은 680원으로 9.68% 오르며 저가주 중심의 단기 매수세 유입을 보여준다. 석유화학 업종에서는 롯데케미칼이 81,300원으로 9.13%, 대한유화가 147,800원으로 9.00% 오르며 앞서 언급한 석유화학 테마 강세를 개별 종목 차원에서 재확인시키고 있다. 이처럼 코스피에서는 제약·소재·자동차·정책 테마주가 업종 지수 상승을 웃도는 탄력을 보이며 지수와 업종 흐름을 동시에 끌어올리는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상한가와 급등주가 집중되며 지수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 면역항암제 테마의 핵심 종목인 바이젠셀은 4,555원까지 오르며 등락률 29.96%로 상한가를 기록했다. 코스닥의 유일한 상한가 종목인 바이젠셀은 면역항암제 관련 기대와 함께 바이오 섹터 전반의 투자심리 개선을 상징하는 종목으로 장 초반부터 상한가 가격대에 매수·매도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인공지능과 온디바이스 AI, 2025 하반기 신규상장 테마의 교차점에 있는 노타는 49,750원으로 28.72% 급등하며 상한가에 근접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그래피는 15,380원으로 14.01% 상승해 신규 상장 이후 테마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평가받는 모습이다. 에너지·연료전지 테마에서는 범한퓨얼셀이 33,100원으로 12.97% 급등하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관련주의 강세를 대표하고 있고, 이뮨온시아는 8,380원으로 11.73% 오르며 바이젠셀과 함께 면역항암제 테마를 이끌고 있다. 리튬·DMZ 평화공원 테마의 하이드로리튬은 2,270원으로 11.55% 오르고 있고, 그린광학은 23,900원으로 9.63%, 케이아이엔엑스는 103,200원으로 9.21%, 오스코텍은 58,000원으로 9.02%, 바이오비쥬는 13,670원으로 8.92% 상승하는 등 코스닥에서는 바이오와 2차전지, AI, 에너지, 정밀부품 등 성장 섹터 전반에서 두 자릿수에 육박하는 급등주가 다수 출현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투자한 것으로 알려진 KODEX 200은 이날 55,100원에 거래되며 0.91% 오르고 있다. 같은 대형주 지수 ETF인 KODEX 200TR은 19,795원으로 0.97% 상승해 배당 재투자형 지수 역시 코스피 본지수와 비슷한 폭의 상승률을 기록 중이다. 중소형 성장주 비중이 높은 KODEX 코스닥150은 14,970원으로 1.32% 오르며 코스닥 지수 강세를 반영한다. 이 대통령과는 직접 관련이 없지만 주요 테마 ETF를 보면, AI와 반도체 업종을 담은 KODEX AI반도체는 16,060원으로 0.37% 하락하고 있고, KODEX 반도체도 53,605원으로 0.24% 내리면서 오늘 장에서는 지수형 ETF와 달리 반도체 업종 ETF가 소폭 약세를 보이고 있다. 방산 관련 테마를 추종하는 PLUS K방산은 49,290원으로 0.75% 오르고 있고, 금 가격을 반영하는 TIGER KRX금현물은 13,095원으로 0.80% 하락해 위험자산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진 흐름을 드러낸다. 글로벌 수급 상위 종목을 담은 WON K-글로벌수급상위는 10,865원으로 0.46% 오르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지수형·방산·수급 상위 ETF는 강세, 반도체·금 ETF는 약세를 보이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투자한 것으로 알려진 KODEX 200은 국내 대형주와 시장 전체 흐름을 그대로 반영하는 ‘바로미터’ 역할을 하고 있다.

종합하면 11월 26일 오전 9시25분 현재 국내 증시는 지난 한 달간 누적된 AI 버블 논쟁, 글로벌 기술주 조정, 한국은행의 신중한 동결 기조와 원화 약세, 외국인 인버스 ETF 매수 확대, 미·한 관세 딜과 AI·방산·2차전지 관련 정책 모멘텀 등 복합적인 요인 위에서 반등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지수 수준에서는 코스피와 코스닥이 모두 1% 안팎으로 오르며 강세를 보이고 있고, 수급 측면에서는 코스피에서 기관, 코스닥에서 외국인이 매수 우위를 점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화학, 전기제품, 전기유틸리티, 기계, 건설, 철강, 우주항공과국방, 제약과 바이오, IT서비스, 에너지장비및서비스 등 전방위적 상승이 나타나고 있으며, 테마별로는 리튬, 면역항암제, 석유화학, 제대혈, 2차전지, 원전 해체, 건설 대표주, SOFC, CNT, DMZ 평화공원, 나트륨이온 2차전지, 2025 하반기 신규상장, 온디바이스 AI 등이 동시에 부각되고 있다. 코스닥에서는 바이젠셀이 상한가를 기록하고 노타, 그래피, 범한퓨얼셀, 이뮨온시아, 하이드로리튬 등 급등주가 속출하면서 성장주 중심의 리스크 선호가 재확인되고 있고, 코스피에서는 삼양바이오팜, 솔루스첨단소재 계열, 코오롱모빌리티그룹, 코아스, 롯데케미칼, 대한유화 등이 두 자릿수 상승률로 업종·테마별 강세 흐름을 대표하고 있다. 글로벌 금리 인하 기대와 AI 경쟁 구도, 관세·정책 변수, 환율과 외국인 수급이라는 복합 환경 속에서 오늘 장은 상한가와 급등주가 주도하는 테마 장세와 기관·외국인의 선별 매수가 맞물린, 강세장 속 변동성 확대 국면으로 전개되고 있다.


[본 기사는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닙니다. 기사 내용은 외신 혹은 증권사 견해를 종합한 것으로, 투자를 권유하기 위해 작성된 내용은 아닙니다. 이 기사 내용에 전적으로 의존해 투자 결정을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모든 투자는 개인의 판단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지는 독자의 투자 결과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