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스타뉴스 송은채 기자)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가 3분기(회계연도 기준 7∼9월) ‘빠른 배송’ 서비스와 클라우드 사업 성장에 힘입어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51조 원대 매출을 올렸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25일 전했다.

알리바바는 3분기 매출이 2천478억위안(약 51조3천169억원)으로 집계돼, 블룸버그가 제시한 시장 전망치 2천452억위안(약 50조7천588억원)을 상회했다고 밝혔다.

‘알리바바’ 3분기 매출 51조원…클라우드·빠른 배송 성장에도 순이익 53% 감소
‘알리바바’ 3분기 매출 51조원…클라우드·빠른 배송 성장에도 순이익 53% 감소

알리바바는 클라우드 사업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했으며, 인공지능(AI) 관련 제품 매출 증가율이 전년보다 세자릿수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같은 기간 알리바바의 순이익은 206억위안(약 4조3천484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53% 줄어 수익성이 악화됐으나, 전문가 예상치인 92억위안(약 1조9천50억원)은 상회했다.

로이터 통신은 알리바바가 중국 ‘인스턴트 커머스’(빠른 배송) 시장에서 벌어지는 고비용 경쟁 속에서도 배송 서비스 투자 확대를 통해 쇼핑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기반을 넓히고, 클라우드 부문에서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한 점이 매출 호조로 이어졌다고 평가했다.

알리바바는 지난 4월 말 온라인 쇼핑과 즉시 배송을 결합한 인스턴트 커머스 서비스를 선보인 뒤 이용자 호응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

알리바바가 제공하는 인스턴트 커머스는 즉석식품, 음료, 생필품, 소형 가전 등 주요 생활·소비재를 주문 후 30분∼1시간 이내에 배송하는 초단기 배송 모델로,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에서의 차별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알리바바는 징둥, 메이퇀 등 주요 경쟁사들과의 할인·보조금 경쟁이 심화되면서 마케팅 비용 부담이 늘어났고, 이 과정에서 순이익이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우융밍 알리바바 최고경영자(CEO)는 “AI 기술·인프라·일상생활 서비스·전자상거래를 통합한 소비 플랫폼에 대한 장기 전략적 가치를 구축하기 위한 투자 단계에 들어섰다”고 밝히며 중장기 투자 기조를 재확인했다.

알리바바는 지난 12개월 동안 AI 기술과 클라우드 인프라에만 1천200억위안(약 24조8천412억원)을 투입해 관련 역량을 강화해 왔다고 설명했다.

알리바바는 중국 최대 온라인 쇼핑 행사인 광군제(光棍節·11월11일)에서도 대규모 보조금 정책과 해외 시장 공략을 통해 거래 규모 확대를 시도했다.

중국 데이터 분석 업체 ‘신툰’(Syntun·星圖數據)에 따르면 올해 광군제 기간 전체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총매출은 1조7천억위안(약 350조원)으로 전년 대비 18% 증가했다.

알리바바를 포함한 주요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광군제 매출 총액은 공개됐지만, 개별 기업별 구체적인 매출 수치는 밝히지 않았다.

알리바바는 자체 AI 챗봇 모델 ‘큐원’(Qwen)을 기반으로 한 무료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해 대중 확산을 시도하고 있으며, 이 앱은 출시 후 1주일 만에 1천만 건 이상의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알리바바는 AI 기반 서비스 확장을 통해 플랫폼 경쟁력을 높이고 있으나, 1억5천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한 바이트댄스의 AI 앱 ‘더우바오’와 비교하면 이용자 규모 측면에서 여전히 격차가 존재한다고 평가했다.

시장에서는 알리바바가 인스턴트 커머스와 AI·클라우드 인프라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지속하는 과정에서 단기 수익성은 압박을 받을 수 있으나, 장기 성장 기반은 강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