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스타뉴스 권재훈 기자) 2025년 11월 19일 오후 인도네시아에서 스메루 화산이 분화해 화산재 기둥이 상공 1만6500m까지 솟구친 것으로 분석됐다. 기상청은 이번 분화 규모가 크지만 우리나라에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을 것으로 밝혔다.  

기상청이 19일 공개한 화산정보에 따르면, 스메루 화산은 현지 시각 기준 2025년 11월 19일 18시 40분 인도네시아 스메루 지역(위도 8.11도 남, 경도 112.92도 동, 고도 3657m)에서 분화를 일으켰다. 분화로 발생한 화산재 기둥(분연주)은 화산 정상으로부터 약 1만6500m 상공까지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정보는 다윈 화산재 주의보센터(Darwin VAAC)가 산출한 자료를 기상청이 공유한 것이다.  

인도네시아 스메루 화산 대규모 분화…분연주 1만6500m 상공까지 치솟아 / 기상청
인도네시아 스메루 화산 대규모 분화…분연주 1만6500m 상공까지 치솟아 / 기상청

기상청은 다윈 화산재 주의보센터 분석을 토대로, 스메루 화산 분화로 인한 화산재가 우리나라 상공으로 유입되거나 국내 항공로에 영향을 줄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없다고 설명했다. 또한 국내 대기 질과 해상 교통에도 영향이 없을 것으로 전망하며, 관련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스메루 화산 분화는 인도네시아 지각 운동이 활발한 지역에서 발생한 것이다. 스메루 화산은 인도네시아 자바섬에 위치한 고도 3657m의 활화산으로, 지구 내부에서 상승한 마그마가 지각의 약한 틈을 따라 분출하면서 화산재와 가스가 대기 상층부까지 뿜어 올려졌다. 이로 인해 분연주가 1만6500m까지 치솟는 강한 분화가 관측된 것으로 분석된다.  

기상청은 다윈 화산재 주의보센터와 국제 협력 체계를 통해 인도네시아 화산 활동 정보를 수신하고 있다. 이번 스메루 화산 분화 정보 역시 해당 센터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며, 국지적인 항공 안전과 주변 해역의 기상·지질 상황을 파악하는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고 설명했다. 기상청은 앞으로도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주요 화산대의 활동 정보를 수시로 점검해, 국내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을 경우 관련 정보를 신속히 제공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