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오래된 물건이 귀한 보물이 되기까지…어느 보존과학자의 기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간 '나는 시간을 복원하는 사람입니다'

(톱스타뉴스 편집팀 기자) 수많은 사람이 오가는 박물관에서 눈에 잘 띄지 않는 공간이 있다. 쉽사리 허락되지 않는 곳, 수장고다.

그 안에 보관된 각종 유물이 전시장에서 관람객 앞에 서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칠까.

연합뉴스 제공

최근 출간된 '나는 시간을 복원하는 사람입니다'(앤의서재)는 조각나고, 녹슬고, 갈라진 유물의 시간을 꿰맞춰 온 보존과학자의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국립광주박물관에서 20여년간 일했던 신은주 씨는 보존과학자를 '존재의 이유를 잃어버린 오래된 물건들의 생(生)을 다시 이어주는 사람'이자 '멈춰버린 시간을 복원하는 사람'으로 정의한다.

실제 보존과학 업무는 화려한 조명 뒤에서 이뤄진다.

저자는 '오늘도 무사히'라는 간절함을 담고 마음의 매무새를 고치고 출근했다고 전한다. 전시동과 달리 눈에 잘 띄지 않고 '외딴섬'처럼 우뚝 서 있는 듯한 곳이 연구동, 즉 보존과학자들의 일터다.

연합뉴스 제공

그는 유물을 박물관으로 옮겨온 뒤에 진행하는 보존 처리 전 조사부터 사진 촬영, 성분 조사, 응급 보존 처리, 이물질 제거 등 전 과정을 찬찬히 설명한다.

어려운 과학 용어를 쓰는 대신 보존 처리 과정에서 유물이 느꼈을 법한 감정을 의인화해서 표현하고, 독자들이 잘 알 만한 문화유산 사례를 언급하기도 한다.

나무, 금속, 도자기 등 각기 다른 재료를 어떻게 보존 처리하는지 최근의 과학기술이 보존 처리 업무에는 어떤 도움을 줬는지 등도 함께 짚어준다.

책에는 오랜 기간 문화유산 분야에서 일해 온 저자의 가치관과 지혜도 곳곳에 묻어난다.

저자는 유물에 대해 "은퇴 후 사라졌던 그들이 땅에서 출토되는 순간, 새로운 인생 2막이 펼쳐진다"며 "기록되지 못한 역사를 존재로서 증명한다"고 강조한다.

그러면서 "모든 것은 사라진다는 유일한 진리 앞에, 마지막까지 존재하여 자신을 증명하는 것이 유물의 생이고 우리의 삶"이라며 '오래되고 낡은 것'의 의미를 부연한다.

켜켜이 쌓인 세월의 흔적을 걷어내고 유물의 시간을 복원하려는 보존과학자들의 노력을 생각해볼 만하다.

240쪽.

연합뉴스 제공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두에게 알리고 싶은 뉴스라면 ?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버튼을 눌러주세요.
추천을 많이 받은 기사는 ‘독자 추천 뉴스’에 노출됩니다.

240201_광고보고투표권

기사 추천 기사를 추천하면 투표권을 받을 수 있습니다.
If you recommend an article, you can get a voting ticket.


모바일 모드로 보기 Go to the Mobile page 모바일 모드로 보기 Go to the Mobile page.

이 기사를 후원해 주세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해외토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