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나 ETF 자금 3억6천9백만달러 유입…비트코인·이더리움 환매 속 ‘수익자산’ 선호 부각
코인오태그(coinotag)는 2025년 11월 25일 ‘Solana ETFs Attract $369M Inflows as Yield Assets Gain Favor Over Bitcoin Redemptions’라는 제목으로, 솔라나(Solana) 기반 ETF에 3억6천9백만달러가 유입되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대규모 환매 흐름과 대조를 보였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솔라나의 스테이킹 보상(연 5%∼7%)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투자자들이 단순 가격 상승보다 수익 창출에 주목하는 흐름이 강화됐다.
기사에 따르면 비트코인(BTC) ETF는 11월 3∼24일 37억달러 순환매를 기록했고 이더리움(ETH) ETF에서도 16억4천만달러가 빠져나갔다. 같은 기간 솔라나 ETF는 3억6천9백만달러를 끌어모으며 상반된 흐름을 나타냈다. 외신은 이러한 차이를 ‘자본 회전’ 이상의 구조 변화로 해석했다. 스테이킹 보상이 단순 가격 변동을 넘어 수익 실현형 투자로 기능하면서 기관·개인 모두 생산적 자산으로 솔라나를 바라보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솔라나 네트워크의 스테이킹 물량은 올해 초 3억5천만 SOL에서 최근 4억700만 SOL로 증가했다. SOL 가격이 100∼260달러 사이를 오가며 변동성이 컸음에도 물량이 늘어난 점은 네트워크 펀더멘털에 대한 신뢰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보도에 따르면 10월 30일부터 11월 24일 사이 리테일 위임자는 191,179명에서 194,157명으로 증가했고 같은 기간 23만8천 SOL 이상이 추가 위임됐다. 대형 위임자는 감소세임에도 보유량을 유지하며 유동성 이탈을 피했다.
보도에 따르면 시장 참여자는 ETF 승인 이후 암호화폐 투자를 ‘가격차익형 자산’과 ‘수익창출형 자산’으로 구분하는 양분화 흐름을 보이고 있다. 네트워크 수익성을 강화하는 스테이킹 보상은 자산 배분의 중심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으나, 규제 환경·시장 유동성·거시 변수 변화가 수익률 유지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상존한다. 특히 금리 사이클 변화, 위험자산 선호 변동, 네트워크 트래픽 리스크 등은 스테이킹 기반 ETF 수익성에 조건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와 같은 변화는 투자 관점에서도 대비된다. 무수익성 자산 중심 포트폴리오보다 수익성 강화형 암호화폐 자산에 대한 선호가 두드러지고 있으나, 외신 내용은 특정 자산 우위가 영속적일 것이라는 단정 대신 유동성과 규제, 네트워크 성능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고 해석할 여지를 남긴다. 스테이킹 수익률이 향후 유지될지는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시장 변동성 확대 시 회전 자금의 민감도가 커질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향후 전망은 스테이킹 비중 증가가 네트워크 보안성과 참여 안정성을 높여 ETF 상품에도 긍정적으로 반영될 가능성이 있으나, 거시 환경 변화와 규제 논의 등 외생 요인에 따라 유입세가 조정될 수 있다. 수익형 자산 선호가 지속될 경우 솔라나 ETF 수요는 점진적으로 확대될 수 있으나, 이는 시장 유동성 및 위험 인식 변화에 조건부로 좌우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