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이슈] 역사학자 전우용, “日 연호사용, 군국주의와 관계없어” #트와이스 #사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톱스타뉴스 이정범 기자) 일본의 연호 사용에 대한 역사학자 전우용의 견해는?

3일 역사학자 전우용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일본의 연호 사용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게재했다. 이는 트와이스 사나가 최근 팀의 인스타그램에 헤이세이 시대와 이별(일본의 연호가 헤이세이에서 레이와로 넘어갔다) 관련 인스타 메시지를 게재해 논란의 중심에 서자, 관련 질문이 이어져 업로드한 것이다.

해당 문제에 대한 그의 견해는 아래와 같다.

전우용  페이스북

#연호관련

연호(年號)가 군국주의와 관련 있는 것이냐고 묻는 사람이 있기에, 상식이 확장되기만 하는 건 아니라는 사실을 문득 깨달았습니다. 과거에는 상식이던 것이 비(非)상식으로 바뀌는 것도 ‘발전’의 일부일 겁니다.

사실은 지금도 연호(年號)를 씁니다. 올해는 예수 탄생 2019년째 되는 해로, 이슬람권을 제외한 많은 나라가 이 '예수 연호'를 씁니다.

인류는 옛날부터 시간은 하늘[천신(天神)]이 주관한다고 믿었습니다. 그래서 시간에 이름을 붙일 권리, 즉 연호 제정권은 하늘의 아들 = 천자(天子)만이 가진다고 보았죠. 유교 문화권에서는 산 사람을 하늘의 아들로 모셨기에 천자가 새로 즉위할 때마다 연호가 바뀌었습니다. 그러나 기독교 문화권에서는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여 영생하는’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독생자’로 섬기기에, 최후의 심판 때까지는 연호가 바뀌지 않습니다. 이런 차이는 양 문화권의 시간관념과 발전 관념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현재 대부분의 나라에서 '서력 기원'을 쓰는 건, 기독교 문화권의 시간이 세계를 정복했기 때문입니다.

일본이 아직 독자 연호를 쓰는 건 ‘군국주의’ 때문이 아니라, 천황을 '하늘의 아들'이거나 '현인신(現人神)'으로 보는 문화 때문입니다. 옛날 상식을 지금 상식에 추가하는 것도, 쓸데없는 공격성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겁니다.

그리고 아래는 천황 칭호 관련 전우영의 견해. 트와이스 사나가 공식 인스타그램에 올린 메시지에 천황 관련한 멘트를 달지는 않았지만, 논란 도중 일본 천황 관련한 이슈도 있어서 함께 덧붙인다.

전우용  페이스북
전우용  페이스북

#천황

한자 문화권 사람들이 미국과 처음 접촉했을 때, president라는 직함은 아주 낯설었습니다. 하늘이 천자(天子)를 정하고 천자가 천명(天命)을 받들어 지상의 인간을 다스리는 것이 정치인 줄 알던 사람들이, ‘인간의 대표’가 통치권을 행사하는 체제를 이해하기는 어려웠습니다. 중국인들은 처음 영어 발음에 가깝게 ‘백리새천덕(伯理璽天徳)’이라고 썼는데, 발음만 표시하는 게 의미가 없어 곧 총통(總統)으로 바꿨습니다. 신해혁명 이후 쑨원의 직함 ‘대총통’은 총통보다 한 등급 위로서, 자기네 국가원수가 미국 국가원수보다 높아야 한다는 ‘중화의식’의 발로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일본인들은 president를 대통령(大統領)으로 번역했습니다. 통령은 본래 오늘날의 영관급에 해당하는 군사 지휘관이었습니다. 거기에 대(大)만 붙여서 자기네 관직 체계 안에서도 중간급 정도밖에 안 되는 위치를 부여한 겁니다. 직함 뒤에 붙이는 존칭도 폐하 전하 저하 합하 아랫급인 각하로 정했죠. 역시 미국을 얕잡아 보려는 의식의 소산이었습니다.

우리는 처음 미국과 통상조약을 체결할 때는 중국식 번역어를 써서 ‘백리새천덕’이라고 썼습니다. 그러다가 1890년대부터 일본식 번역어인 ‘대통령’으로 바꿨습니다. 1919년 3.1운동 때에 한성 정부는 ‘집정관 총재’, 상해 정부는 '국무총리', 노령 정부는 ‘대통령’을 행정부 수반의 명칭으로 제시했습니다. 일본식 용어에 익숙했기 때문일 겁니다. 장관(長官) 역시 조선총독부 관제에 처음 썼던 말입니다. 일본인들은 식민지 관제에만 장관이라는 직위를 두었습니다.

일본인 가수가 ‘천황’이라는 말을 썼다는 이유로 시끌벅적합니다. 대통령이라는 말을 일본인들이 만들어냈듯, 천황이라는 말도 일본인들이 만들어낸 겁니다. 일본 역사에서 천황이 ‘세속 군주’였던 기간은 상대적으로 아주 짧습니다. 일본 천황은 로마 교황(敎皇)처럼 일본 종교인 ‘신도’의 대제사장이자 상징이었고, 2차 대전 이후 세속 정치 관여가 금지됨으로써 다시 ‘대제사장’의 지위로 밀려났습니다.

일본인들은 가톨릭의 pope도 교황(敎皇)으로 번역했다 법왕(法王)으로 번역했다 오랫동안 오락가락했습니다. 우리 역시 그랬고요. 하지만 이제 교황(敎皇)이라는 직함의 등급에 문제를 느끼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개신교 신자든 불교 신자든 그냥 교황이라고 부릅니다.

‘천황’이라는 직함이 문제라면, ‘대통령’이라는 직함은 더 문제입니다. 대통령이라는 이름은 천황보다 한참 아랫급이기 때문이죠. 중국식 번역어인 총통은 개념상 대통령보다 조금 더 높은 지위에 있습니다. 중국인들은 지금도 문재인 대통령이라고 하지 않고 문재인 총통이라고 합니다.

일본인들이 만든 대통령과 장관이라는 직함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오래전부터 있었지만, 아무도 귀 기울이지 않았습니다. ‘일본인들이 만든 용어이기 때문’이라는 것 말고는 굳이 바꿀 이유가 없기도 하고요. 대통령이라는 말을 그대로 쓰는 마당에, ‘천황’이라는 말에 굳이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지금은 21세기입니다. 황(皇)이나 왕(王)이 있다는 거나, 선거로 뽑힌 행정부 수반이 여전히 '대신(大臣)'인 게 자랑하거나 부러워할 일일까요? 일본에는 아직도 천황(天皇)으로 불리는 사람이 있구나라고 인정하고, 고대 일본 종교의 대제사장에게 붙인 이름이 지금까지 내려오는 거라는 사실만 알면 되지 않을까요? 천황을 굳이 ‘일왕’으로 격하해 봤자 그래도 대통령보다 위상이 높은 이름입니다. 게다가 '세속 군주'라는 느낌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우리 개념에 더 잘 맞는 '대제사장'이나 '왕무당'으로 바꾸는 건 너무 지나칩니다. 그냥 교황처럼 천황이라고 부르는 게 나을 것 같습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두에게 알리고 싶은 뉴스라면 ?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버튼을 눌러주세요.
추천을 많이 받은 기사는 ‘독자 추천 뉴스’에 노출됩니다.

240201_광고보고투표권

기사 추천 기사를 추천하면 투표권을 받을 수 있습니다.
If you recommend an article, you can get a voting ticket.


모바일 모드로 보기 Go to the Mobile page 모바일 모드로 보기 Go to the Mobile page.

이 기사를 후원해 주세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해외토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