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종합] ‘저널리즘 토크쇼 J’ 지원금 폐지 청원까지… 연합뉴스는 어떻게 신뢰를 잃었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톱스타뉴스 진병훈 기자) “연합뉴스의 국민 혈세로 지급하는 연 300억 원의 재정보조금 제도의 전면 폐지를 청원합니다.”

이 같은 청와대 국민청원이 11일 만에 20만 명의 동의를 얻었다.

이번 청원은 연합뉴스 TV의 그래픽 사고가 계기가 됐다. 극우 사이트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을 모욕할 때는 쓰는 실루엣 이미지가 자료 화면에 등장했던 것이다.

지난 10일은 문재인 대통령 사진 아래 북한 인공기를 배치했고 다음 날 뉴스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아예 제외된 채 트럼프 대통령 앞에 태극기와 성조기만을 배열해 더 큰 논란을 일으켰다.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연합뉴스 TV는 보도국장, 뉴스총괄부장, 보도본부장을 문책하고 인사위원회를 열어 10여 명에 대한 징계 절차를 밟기로 했다.

하지만 연합뉴스의 재정보조금 폐지 청원은 이번 그래픽 사고 때문만은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먼저 연합뉴스가 국가기간통신사가 된 배경부터 살펴보자.

지난 2003년 ‘뉴스통신 진흥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연합뉴스는 6년을 한시적으로 국고보조금을 지원받기로 했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들어 법률이 개정되면서 ‘한시’ 조항이 삭제해 ‘영구’ 지원하기로 했다. 매년 300억 이상을 국가 구독료 명목으로 받게 된 것이다.

국가 지원금이 독립성을 흔들었다는 지적이 나온 것은 연합뉴스 노조가 국정농단 당시 부당 지시가 있었다고 폭로한 때부터였다.

연합뉴스 노조는 이명박 정부 말기 2012년 공정 보도를 쟁취한다는 목적으로 파업에 돌입했고 2017년 7월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자 윗선의 부당한 지시가 있었다고 폭로했다.

박근혜와 최순실 게이트의 중간 수사 결과가 발표되자 사회부장은 수사 결과 문장에 따옴표를 하라고 지시했다. 검찰의 중간 수사 결과가 일반적 주장이라는 황당한 말을 한 것이다.

<박 대통령 취임 후 청와대 의약품 구매 2배로 급증>이라는 기사는 데스킹을 거쳐 <이명박 정부도 유사 프로포폴·마늘 주사 구매>란 제목으로 바뀌었다.

<시민들은 ‘싸늘’>이라는 제목도 <시민·민간단체 평가 엇갈려>로 기계적 중립식으로 바꾸었다.

21일 ‘저널리즘 토크쇼 J’에 출연한 송현주 한림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학부 교수는 연합뉴스의 사장과 임원 등을 정권의 입맛에 맞게 임명할 수 있는 지배 구조를 지적했다.

뉴스통신진흥회는 연합뉴스 지분의 30.77%를 가진 최대 주주이자 관리, 감독기구다.

이사는 총 7명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되 그중 2명은 정부가, 3명은 국회가, 방송협회와 신문협회가 각각 1명씩 추천한다.

또한 정부의 평가에 따라 지원금도 달라진다.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 방송 캡처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 방송 캡처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 방송 캡처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 방송 캡처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 방송 캡처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 방송 캡처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 방송 캡처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 방송 캡처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 방송 캡처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 방송 캡처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 방송 캡처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 방송 캡처

연합뉴스의 경제 기사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높다.

지난 4월 초에는 지난해 GDP 대비 취업자 수가 사상 최소라며 8년 만에 최대폭으로 감소했다고 주장했다. 

10일 tbs FM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한 최성근 이코노미스트(머니투데이)는 GDP 대비 취업자 수가 적다는 것은 일하는 사람이 몇 명 없어도 부가가치를 생산해 낸다는 뜻으로 나쁜 뉴스가 아니라고 지적했다.

2000년에는 연간 부가가치 10억 원을 생산하는데 26명이 필요했고 2018년에는 16.7명으로 줄어들었다. 

최 이코는 산업 고도화와 4차 산업혁명으로 필요한 노동력이 줄어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가 결론적으로 생산성이 높아졌다는 뉴스를 거꾸로 취업자 수가 줄어들었다는 프레임으로 탈바꿈했다는 것이다. 

늘 그렇듯 연합뉴스의 기사를 다른 언론들이 받아썼는데 동아일보는 여기에 최저임금을 원인으로 끌고 들어갔고 MBC는 GDP 대비 취업자 수의 의미를 몰랐는지 상세한 내용조차 없다. 

최 이코는 GDP 대비 취업자 수가 늘어나면 생산성이 떨어져 노동 집약적 사회로 퇴보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배근 건국대학교 경제학 교수는 지난 3월 19일 tbs FM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연합뉴스의 경제 기사가 의도적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최 교수가 지적한 연합뉴스의 경제 기사는 ‘구직단념자 58만 명·50대 실업자 20만 명 돌파…통계작성 후 최다’로 지난 16일 주말에 올라왔다. 

최 교수는 결론적으로 50대의 경제 활동 참가율이 역대 최다였다며 취업자 수도 역대 두 번째로 높았다고 설명했다. 

취업자 수와 실업자 수가 동시에 높았던 이유로는 30~40대 인구가 연 10만 명에서 13만 명으로 줄어들면서 50대 인구가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다. 

즉, 분모가 커지면서 취업자 수까지 증가한 것인데 연합뉴스는 다른 날도 아닌 토요일에 이런 부정적인 기사를 올린 것이다. 

최 교수가 연합뉴스의 보도를 의도적으로 바라보는 이유는 2월 고용 동향이 수요일(13일) 발표됐기 때문이다. 

50대 취업자 수까지 증가했다는 사실을 알아낼 여유가 충분한데도 주말을 특정해서 기사를 올렸다는 것이다. 

주말은 보통 기자들이 휴무인 관계로 이런 기사가 올라오면 사실관계를 파악하기보다 서로 퍼 나르는 경향도 악용한 것으로 보인다. 

최 교수는 결론적으로 연합뉴스가 50대 취업자 수가 역대 최다였다는 점도 같이 보도했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2017년 9월 17일에는 트럼프 대통령 트위터 오역 논란이 있었다.  

‘Long gas lines forming’은 “주유소 앞에 기름을 넣으려고 줄을 길게 섰다.”로 북한의 상황을 안타깝다는 뜻으로 비유적으로 표현했다.

그러나 연합뉴스는 이를 <트럼프, 북한에 간 가스관 형성중…유감이다>로 오역했고 다른 언론들이 받아쓰기 시작했다.

송현주 교수는 연합뉴스가 준비된 실수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는 “이는 문 대통령이 지난 6일 러시아 방문을 통해 한국과 북한 러시아를 잇는 가스관 사업 구상을 밝힌 부분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드러난 것으로 풀이된다.”라고 주장했다.

송 교수는 뉴스통신사가 자의적 해석을 배제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 방송 캡처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 방송 캡처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 방송 캡처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 방송 캡처

KBS1 ‘저널리즘 토크쇼 J’는 매주 일요일 밤 10시 30분에 방송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두에게 알리고 싶은 뉴스라면 ?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버튼을 눌러주세요.
추천을 많이 받은 기사는 ‘독자 추천 뉴스’에 노출됩니다.

240201_광고보고투표권

기사 추천 기사를 추천하면 투표권을 받을 수 있습니다.
If you recommend an article, you can get a voting ticket.


모바일 모드로 보기 Go to the Mobile page 모바일 모드로 보기 Go to the Mobile page.

이 기사를 후원해 주세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해외토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