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코로나 연구]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주요 변이 바이러스' 대응은 한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델타 변이 중화항체 수치, 원래 신종 코로나의 5분의 1
1차 접종 항체 형성자 비율, 알파 50%·델타 32%·베타 25% 그쳐
영국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저널 '랜싯'에 리서치 레터 제출

(톱스타뉴스 김명수 기자) 연합뉴스에 따르면 화이자-바이오앤텍(Pfizer-BioNTech)의 코로나19 백신을 2차까지 접종한 사람도, '주요 변이' 코로나에 대한 중화 항체는 충분히 생성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례로 델타 변이(B.1.617.2)를 식별해 중화하는 항체 수치는, 이전에 확산한 알파 변이(B.1.1.7)를 중화하는 항체 수치보다 훨씬 낮았다.

알파 변이와 델타 변이는 각각 영국, 인도에서 처음 발견된 신종 코로나 변이 아종(strain)을 가리키는 WHO(세계보건기구) 지정 명칭이다.

또 주요 변이 코로나를 중화하는 항체 수위는 백신 접종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낮았고, 시간이 지나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돌연변이가 생긴 신종 코로나의 스파이크 단백질. 닫힌 배열의 돌연변이 스파이크 단백질(右)과 정상 스파이크 단백질. 적색으로 표시된 630 루프(loop)가 스파이크 돌기의 수용체 결합이 너무 일찍 풀리는 걸 막는다. [미국 보스턴 아동병원 천 빙 박사]
돌연변이가 생긴 신종 코로나의 스파이크 단백질. 닫힌 배열의 돌연변이 스파이크 단백질(右)과 정상 스파이크 단백질. 적색으로 표시된 630 루프(loop)가 스파이크 돌기의 수용체 결합이 너무 일찍 풀리는 걸 막는다. [미국 보스턴 아동병원 천 빙 박사]

영국의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대학병원(UCLH) 등이 공동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3일(현지 시각) 의학 저널 '랜싯(The Lancet)'에 '리서치 레터(Research letter)'로 실렸다.

이번 연구는 신종 코로나 '주요 변이(variants of concern)'에 대한 백신 유도 항체의 중화 효능을 조사한 것으론 가장 규모가 컸다.

아울러 '1세대 백신'을 회피하는 신종 코로나의 진화 방향을 가늠하게 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신종 코로나의 전송 전자현미경 이미지 [미국 NIAID(국립 알레르기 감염병 연구소)]
신종 코로나의 전송 전자현미경 이미지 [미국 NIAID(국립 알레르기 감염병 연구소)]
연구팀은 중국 우한에 처음 나타난 원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4종의 변이 코로나에 대해 백신 유도 항체의 중화 효능을 검사했다.

알파 변이와 델타 변이 외에 작년 4월 1차 대유행 때 유럽을 지배했던 변이 아종(D614G)과 남아공에서 처음 발견된 베타 변이(B.1.351)가 추가됐다.

'중화(neutralising)'란 바이러스의 세포 침입을 차단하는 항체의 방어 작용을 말한다.

보통 항체의 역가(力價·titres)가 높을수록 백신의 효과가 좋고, 코로나19에 대한 방어력도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역가는 바이러스 감염의 50%를 차단할 수 있는 '최고 희석 수위(greatest dilution level)'라는 의미지만, 보통 '적정 농도'라는 개념으로 통한다.

중화 항체 농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화이자 백신을 두 차례 모두 맞은 사람도 델타 변이에 대한 중화항체 수위는 원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original strain)에 같은 백신을 적용했을 때의 5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차 백신만 접종한 경우엔 항체 반응 수위가 훨씬 더 떨어졌다.

백신 접종 후 항체 반응이 정량화되는 접종자 비율이 원래 신종 코로나는 79%에 달했지만, 각각 알파 변이는 50%, 델타 변이는 32%, 베타 변이는 25%에 불과했다.

나이가 많을수록 항체 수치가 떨어지는 건 모든 검사 대상 변이에서 별반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성별이나 체질량 지수(BMI)와의 연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자연살해세포'로 불리는 NK세포는 선천 면역을 담당하는 백혈구로서 바이러스 감염 세포나 암세포를 직접 파괴한다. 간과 골수에서 성숙하는 NK세포는 다른 면역세포의 증식을 유도하고, 면역반응 물질 사이토카인을 분비한다. [미국 NIAID(국립 알레르기 감염병 연구소)]
'자연살해세포'로 불리는 NK세포는 선천 면역을 담당하는 백혈구로서 바이러스 감염 세포나 암세포를 직접 파괴한다. 간과 골수에서 성숙하는 NK세포는 다른 면역세포의 증식을 유도하고, 면역반응 물질 사이토카인을 분비한다. [미국 NIAID(국립 알레르기 감염병 연구소)]
크릭 연구소 바이러스 복제 랩(lab)의 그룹 리더인 데이비드 바우어(David LV Bauer) 박사는 "새로운 변이는 자연스럽게 생기지만, 그중에서 유리한 성질을 가진 것만 널리 퍼질 것"이라면서 "이제 백신 전략을 신속히 조정해 인간의 취약한 부분에 대한 방어를 최고로 강화할 수 있게 됐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 쓰인 혈액 및 면봉 샘플은 크릭 연구소와 UCLH 등에 소속된 의료인과 연구자가 자발적으로 제공했다.

연구팀은 화이자 백신을 한 차례 또는 두 차례(최장 3개월 간격) 접종한 비감염자 250명의 혈액을 받아 항체를 검사했다.

이번 연구엔 화이자 백신을 맞은 지원자만 참여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자가 주요 변이 코로나에 대해 어느 정도 중화항체를 생성하는지는 현재 검사 중이라고 연구팀은 전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모두에게 알리고 싶은 뉴스라면 ?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버튼을 눌러주세요.
추천을 많이 받은 기사는 ‘독자 추천 뉴스’에 노출됩니다.

240201_광고보고투표권

기사 추천 기사를 추천하면 투표권을 받을 수 있습니다.
If you recommend an article, you can get a voting ticket.


모바일 모드로 보기 Go to the Mobile page 모바일 모드로 보기 Go to the Mobile page.

이 기사를 후원해 주세요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해외토픽